본문 바로가기

정보글

벌거벗은 세계사 방송시간

반응형

벌거벗은 세계사 방송시간

 

  • 초반에는 5%대 시청률로 순조롭게 출발하는 듯 했다. 하지만 1화부터 2화에 이르기까지 검증되지 않는 낭설 투성이인데다가 자극적인 내용으로 일관했다는 비판을 받고 있으며, 1개월여만에 새롭게 시작한 4회에서도 5% 넘는 시청률을 보이며 생각보다 설민석 효과는 생각보다 덜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설민석 하차 후 프로그램이 어떻게 변경될 지 궁금증이 반영된 시청률이기 때문에 다음 회차부터 반영된 시청률이 포스트 설민석에 대한 평가가 될 가능성이 크다. 결국 우려하던대로 점점 하향세로 진행하더니 10회차에는 최저 시청률을 기록하게 되었다.
  • 2화는 티빙에서 완전히 삭제되었고, 유튜브 티비엔 계정에 올라온 강의 요약 영상도 내려갔다. 사실상 흑역사 취급된 걸로 보인다.
  • 현재 설민석이 준비했던 강의를 제외하고는 서양사, 동양사를 번갈아가면서 진행하고 있다. 그런데 동양사 중 한국사와 연관된 강의는 대중적인 인지도를 가지고 있는 최태성 강사가 진행함에도 불구하고 시청률이 계속 떨어졌다.[14]
  • 결국 3월 27일 12회를 끝으로 추락한 이미지를 제대로 쇄신하지 못하고 시즌 1이 막을 내렸다.
  • 그 후 재정비를 한 다음 2021년 6월 1일에 시즌 2로 재개했다. 재개 후에는 이전보다 시청률이 올랐으며, 링컨 편까지는 3%에 근접하는 시청률을 보였었다. 이후 2.5%대 중반에서 머무르고 있다가 주제 중심이었던 냉전 편에서는 큰 폭의 하락세를 보였지만, 이후 다시금 시청률이 복귀되어서 칭기즈칸 편에서는 3%를 넘는 시청률을 보여줬다.

 

방송시간 시즌 1: 매주 토요일 오후 10시 40분~
시즌 2: 매주 화요일 오후 10시 30분 ~
벌거벗은 세계사 방송시간 : http://program.tving.com/tvn/history

 

 

비판과 논란

  • 시청률에서 보다시피 화제성도 크나 성공적인 시청률과 다르게 첫회 분부터 지적이 나오며 비판 여론이 치솟았다. 전반적으로 자극적일 뿐만 아니라 아주 기본적인 사실관계조차 틀린 내용이 많았다. 게다가 2화의 경우 이집트 자문을 맡은 전문가가 프로그램이 자문 내용을 하나도 반영하지 않음은 물론 수준미달의 사실확인임을 지적하고, 자문 과정에서 제작진이 보여준 각종 추태까지 폭로하면서 제작진이 사과했다.이후 프로그램명에 이름까지 들어간 진행자 설민석의 논문 표절 보도와 함께 그의 하차로까지 이어졌다.
  • 설민석이 하차 이후 그에게 가려져 있던 제작진에 대한 비판도 나왔다. 6시간 장시간 녹화에 1시간 반 편집본이 방영이 되다 보니 시대 배경 설명도 빈약하게 편집했다는 점이다. 또한 중간에 뜬끔없는 미리보기나 생각보다 많은 퀴즈 등 흐름이 끊기는 편집으로 인해 오히려 집중도를 떨어뜨리는 결과를 만들었다.
  • 주제 설정도 자극적인 주제들로만 구성이 되었다는 것이다. 4화 페스트, 7화 로마 건축사를 제외하고 모든 회차 전쟁을 주제로 강의를 진행하였기 때문에 시청자들의 호기심을 자극하기에 좋기는 하지만 1, 3화 같은 경우에는 강의 내용이 아이들에게 보여주기에는 굉장히 잔인하고 자극적인 내용이 굉장히 많았다는 점이다. 설민석 하차 이후 스페셜 강사로 진행되면서 잔인한 부분은 최대한 줄어들기는 했으나 주제는 여전히 전쟁 중심으로 갔었다. 이는 시즌 2가 되면서 사건이 아닌 인물 중심으로 가는 것으로 전향하며 다소 해결됐다. 다만 위인이나 역사의 유명한 인물들을 중심으로 서술하다보니 필연적으로 주제에 전쟁이나 자극적인 소재가 들어가긴 한다지만 인물이 핵심인지라 전쟁 자체에 포커스를 두기보단 '이 인물이 이러한 사건을 일으켰다' 정도로 짚고 넘어가는 수준으로 크게 순화되긴 했다. 심지어 시즌 2 최초의 '사건 중심 편'인 '냉전 편'에서도 전쟁과 관련된 내용은 어느정도 축소했다. 전쟁처럼 사건 자체를 포커스에 뒀던 시즌 1과 비교하면 상당히 할애량이 줄어든게 눈에 보일 정도.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