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글

성인 애착유형 검사

반응형

성인 애착유형 검사

 

정신분석가인 존 볼비(John Bowlby)가 구상하고, 유아 심리학자인 메리 앤즈워스(Mary Ainsworth)가 발전시킨 개념이다. 원형은 정신분석학의 '대상관계이론'이며 다소 추상적인 대상 관계의 개념을 존 볼비가 발달 과정에 실증적으로 적용할 수 있게 변형시켰다고 보면 된다. 근 20년간 폭발적으로 연구되는 심리학의 주요 주제 중 하나이다.

 

성인 애착유형 검사

 

사람과 사람을 연결하는 시간과 공간을 넘어선 깊고 지속적인 유대감을 말한다.

대부분 양육자나 특별한 사회적 대상과 형성하는 친밀한 정서적 관계에서 나타난다.

양육자와 아이의 경우 생후 1년간 엄마와 애착을 맺고 2살이 되면 아빠와의 애착이 강화되어 부모 양쪽에 대한 애착이 생성된다. 훗날 타인에게, 자신에게, 주위 환경에 무엇을 기대할 수 있는지 결정하는 기반이 된다.

 

 

 

성인 애착유형 검사 : http://typer.kr/test/ecr/

 

양육자가 자녀와의 안정적인 정서적 친밀감을 형성하지 못하고 강압, 방치, 학대, 조건부 사랑 등을 가했을 때 '애착 손상'이 생긴다. 영유아기 때 반복적이고 지속적인 스트레스를 받게 되면 '자율신경계'에 손상을 입게 되는데, 이는 뇌의 편도체, 해마, 시상하부, 뇌하수체, 부신피질 등의 구조와 기능에 이상을 일으킨다. '애착 손상'을 입게 되면 사람에 대해 신뢰할 수 없게 되고, 사람에게 버림받을 거란 생각을 갖게 된다.

반응형